Git Branch
Branch : 나뭇가지
Git에는 main 줄기가 있다. main에 있는 파일 하나를 동시에 많은 사람이 작업한다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.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도 한 사람이 모두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역할을 분담한다. 각자 작업한 파일이 충돌하지 않도록 브랜치로 나누어 놓는 것이다.
(브랜치를 먼저 만들고 그곳으로 이동해서 파일 작업을 해야한다. 파일을 브랜치로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.)
branch 관련 명령어
■ git branch : 브랜치를 만들거나 상태 확인하기
$ git branch 만들 브랜치 이름 <-- 해당 이름으로 브랜치를 만들 수 있다.
$ git branch <-- 지금 어떤 브랜치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.
■ git checkout : 브랜치 이동하기
$ git checkout 이동할 브랜치 이름
(이동할 브랜치 이름 작성할 때 Tab 키를 누르면 자동완성이 되니 오타 발생을 줄일 수 있다.)
■ git branch -d
$ git branch -d 삭제할 브랜치 이름
반드시 merge 작업이 정확하게 끝나고 브랜치를 삭제해야 한다.
(옵션값 -d를 사용한다.)
■ git branch -m
git branch -m 변경할 브랜치 이름
이름을 변경하고자 하는 브랜치로 이동한 다음 명령해야 한다.
■ git remote update
로컬에서 원격 브랜치 찾을 수 있도록 갱신
■ git branch -r
원격저장소에 있는 브랜치 확인
■ git checkout -t origin/브랜치명
원격저장소에 있는 브랜치 가져오기
■ git push -u origin 원격브랜치명
원격저장소에 있는 브랜치를 받은 후 최초 push할 때만 입력해주고,
다음부터는 push 혹은 pull만 입력해도 된다.
Git Merge
Merge : 병합, 융합하다
나무가 있다고 생각하고 여러 나뭇가지(브랜치)가 뻗어있다. 나무줄기(메인)으로 나뭇가지를 모두 합칠 수 있다.
merge 관련 명령어
■ git merge
$ git merge 합칠 브랜치 이름
합칠 곳으로 이동해서 'git merge 합칠 브랜치 이름' 입력
■ auto merge 상황에서
i 누르기(insert 하겠다는 뜻) > 상단 노란 문구 지우고 임시 commit명 입력 > esc로 빠져나오기 > :wq입력(나가겠다는 뜻) > enter 누르기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설치와 설정, 명령어 (0) | 2024.04.26 |
---|